본문 바로가기

IT/네트워크10

네트워크 10. L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은 패킷을 네트워크상의 목적지로 라우팅하는 역할과 서비스 품질을 담당한다. 예를들어, IP를 통해 음성이나 영상을 실행한다면 지연에 민감하다. 그래서 이메일 같은 것보다 더 나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 IP(Internet Protocol)는 L3 네트워크 계층의 가장 유명한 프로토콜이다. IP는 ACK응답이 없는 비연결성 프로토콜이다. 대신 4계층에서 TCP 응답을 사용하거나 상위 계층에 내장하여 안정적인 트래픽을 유지할 수 있다. 3계층의 프로토콜에는 IP이외에 문제해결을 위한 핑에 사용되는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와 보안 암호화 통신용인 IPSec도 있다. IP Addressing IP 주소 지정은 3계층에서.. 2023. 2. 23.
네트워크 9. L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OSI 모델의 4계층에 해당하는 전송계층에 대해 알아보자 전송계층은 호스트 간에 데이터를 투명하게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종단 시스템 간의 오류 복구와 흐름 제어를 담당한다. 흐름 제어란 수신 호스트가 데이터를 모드 처리할 수 있도록 발신자가 보낸 데이터 흐름을 조정하는 과정을 뜻한다. 예를 들어, 발신자의 인터넷 속도가 높아서 너무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수신 호스트가 처리하기 벅찬 양을 보내는 경우 흐름제어를 작동해서 수신 호스트가 발신자에게 속도를 늦추도록 신호한다. Session Multiplexing 전송계층은 세션 다중화를 지원하기도한다. 이것은 호스트가 동시에 여러 세션을 지원하고 단일 링크에서 개별 트래픽 흐름을 관리할 수 있는 과정이다. 왼쪽에 발신자가 .. 2023. 2. 22.
네트워크 8. Cisco IOS 설정 관리 configuration(설정,구성)에는 running configuration과 startup configuration이 있다. running configuration은 현재 사용 중에 있는 실행 중인 설정이고 startup configuration은 시작 설정으로, 다음에 장치가 새로 시작되거나 재부팅 될 때 적용될 설정이다. 1. running config 확인하기 Privileged 모드 레벨에서 show running-config 를 실행하면 설정 내용을 볼 수 있다. 중간에 보면 hostname이 R1인걸 확인할 수 있다. 2. start config 확인하기 Privileged 모드 레벨에서 show startup-config 를 실행하면 설정을 볼 수 있다. 중간에 보면 hostname이 .. 2023. 2. 21.
네트워크 7. 특정 단어 조회하기 특권모드에서 show running-config 명령어를 실행해서 장치 전체의 설정을 확인해보자. 꽤 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단어만 확인하고 싶을때 사용하는 방법들을 소개하겠다. 1. begin 을 사용하여 특정단어로 시작하는부분 조회 sh run은 show running-config를 축약어로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뒤에 | begin + [조회할 단어] 를 입력해 | 로 이어주면된다. 위 예시는 hostname이라는 단어가 시작하는 부분부터 볼 수 있다. 주의할 점이 하나 있는데, IOS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하지만 | 로 연결하여 위와 같이 사용할 경우,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그렇기 때문에 위와 같이 Hostname으로 검색하면 검색결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2023. 2. 20.
네트워크 6. Cisco IOS 운영체제 탐색 IOS Command Hierarchy(명령 계층) 1. User Exec mode(유저 모드) 처음에 장치에 접속하면 hostname> 표시로 User Exec mode 로 들어오게 된다. User모드에서는 매우 제한적인 명령어들만이 사용가능하고 일반적으로는 User모드에서 작업하지 않는다. User모드 에서 show run을 입력해보자 'show run' 은 유효한 명령어이지만 Privileged Exec mode 에서만 작동하는 명령어이다. 그래서 실패했다고 출력된다. 이것은 초심자들이 IOS 커맨드라인에서 자주 겪게되는 가장 일반적인 이슈이다. 만약 Invalid input 에러를 보게된다면, 올바른 레벨에서 커맨드를 입력했는지 확인해보는게 좋다. 2. Privileged Exec mode(특권 .. 2023. 2. 20.
네트워크 5. 네트워크로 Cisco 장치 연결 PuTTY, MobaXterm 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장치에 연결하면된다. 장치에 연결 한 뒤 명령어 라인이 뜨면 해당 장치에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CLI로 이동하려면 SSH 프로토콜로 해당 장치의 IP주소로 연결 하면 된다. Telnet 이라는 다른 프로토콜도 지원되지만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SSH와 Telnet는 똑같이 생겼고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지만 SSH에서는 명령어를 입력할 때 명령이 암호화된다는게 차이점이다. 반대로 Telnet에서는 입력한 명령어가 암호화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 네트워크를 통해 트래픽을 훔쳐보게된다면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털릴 수가 있다. 그래서 실제 네트워크에서 Telnet는 사용되지 않는다. 그래서 실제.. 2023. 2. 18.